서브배경
서브이미지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는 당신을 위하여

For you, For your Healthy Life!!

진료시간안내

  • 평 일 08:30 ~ 18:00
  • 토요일 08:30 ~ 13:00
  • 일요일 없음
  • 공휴일 휴무
  • 점심시간 13:00 ~ 14:00

032-351-5800

건강정보


건강칼럼

홈으로_ 건강정보_ 건강칼럼

제목

에어컨 바람에 건조해진 코… "콧속 방어력 높여 감염병 막아야"

image

연일 폭염이 이어지면서 에어컨을 틀지 않는 실내 공간은 드물다.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강한 냉방을 유지하는 곳이 많아, 반팔 차림 위에 얇은 겉옷을 걸칠 정도로 냉기가 감도는 환경도 흔하다. 그러나 이렇게 낮은 온도와 냉방으로 인해 건조해진 실내 공기는 코점막을 마르게 해 방어 기능을 떨어뜨리고, 각종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에어컨 바람에 건조해진 코점막, 감염병 위험↑
에어컨을 오래 틀다 보면 코가 건조하고, 심지어 시린 듯한 느낌을 받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는 건조한 실내 공기로 인해 코점막의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고 있다는 신호다. 코는 일정한 습도를 유지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점액과 섬모세포가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실내 습도가 그 한계를 넘어서 건조해지면 코점막도 점차 건조해지기 시작한다.

문제는 코점막이 마르면 각종 전염병에 취약해진다는 점이다. 코안의 점액과 섬모세포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1차 방어선 역할을 하는데, 점막이 건조해지면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병원체가 쉽게 체내로 침투한다.

여기에 에어컨을 장시간 틀면서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감염 위험은 더욱 커진다. 밀폐된 실내 공간은 바이러스와 세균이 공기 중에 오래 떠다니며 전파되기 쉽기 때문. 특히 결핵이나 홍역처럼 5㎛ 이하의 에어로졸 형태로 퍼지는 감염병은 공기 중에서 수 시간 이상 떠다니며, 10m 이상 떨어진 거리까지 감염시킬 수 있다.

코 촉촉하게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환기해야
에어컨을 장시간 가동하는 여름철에는 코점막을 건강하게 유지해야 각종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권오진 원장(핑이비인후과의원)은 "실내 습도를 40~50% 내외로 유지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또한 "코가 건조할 때 무의식적으로 코를 후비거나 비비는 등의 외상성 자극은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에어컨을 틀 때는 최소 2시간마다 한 번씩, 10분 이상 실내 환기를 해야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특히 학교, 어린이집 등 다중 시설에서는 출입문과 창문을 동시에 열어 환기해야 한다.

'잔토모나스∙카모스타트'로 코점막 강화하면 효과↑
보다 근본적인 예방책을 원한다면 코점막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닿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세포 침투를 막아주는 성분을 스프레이 형태로 뿌려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잔토모나스 발효 추출물(이하 잔토모나스)이 있다. 이는 콧속 점막에 물리적 방어막을 형성해 비강 세포에 바이러스가 직접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해 준다. 즉, 바이러스 진입의 첫 관문인 코의 역할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이는 미국 fda에서 무독성·저자극성 고분자로 인정받은 성분으로, 일상 속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리적 방어막을 뚫고 들어온 바이러스가 점막 세포에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카모스타트'가 도움 될 수 있다. 카모스타트는 코로나19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인 tmprss2의 작용을 억제해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두 성분을 함께 사용하면 이중 방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콧속에서 바이러스의 1차 침투를 물리적으로 막아주고, 세포 내부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이중 작용으로 감염 예방 효과를 높이는 것. 실제로 바이러스 학술지 '바이러스시스(viruses)'에 실린 연구를 통해 인플루엔자 a·b형 바이러스를 개 신장 상피세포에 감염시킨 뒤 잔토모나스 단독 투여군과 카모스타트를 병용한 투여군을 비교한 결과, 후자에서 더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확인된 바 있다.

한편, 시중에는 잔토모나스와 카모스타트 성분을 스프레이 형태로 코에 분사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돼 있다. 1회 분사로 6~8시간가량 방어막이 유지되는 제품도 있어, 밀폐된 실내 공간에 장시간 머무르거나 감염에 취약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